사랑이 꽃피는 시기에 사회적 관심의 철회는
직업과 사회에 대한 준비의 결여 외에 다른 형태로도 표현된다.
공동체 요구에 거의 완전하게 담을 쌓는 청소년의 정신 이상 증세가 가장 심각할 것이다.
이 증상을 보이는 사람에게 협력을 준비하라고 요구하는 외부 상황의 압박이 지속될 경우
신경증이 증가 할 수 있으며,
삶의 요구를 증오하고 비난하면서 이로부터 완전히 후퇴하기 위해 자살을 선택하는 사람도 나타난다.
사회적 요구를 비사회적인 방식으로 회피하기 위한 속임수도 활용되는데,
알코올 중독, 모르핀 중독, 코카인 중독 등은,
공동체 감정이 결여된 사람이, 공동체 과제로부터 도피하고 싶을때 빠지기 쉬운 유혹이다.
이런 사람의 경우 삶의 회피와, 방탕에 대한 열망이 매우크다는 것을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많은 비행 청소년은 현재 상황에서 공동체 감정의 부족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이미 아동기 때부터 용기가 부족했을 가능성이 높다.
오늘날 성도착 현상이 점점 더 뚜렷해지는 것도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
이것은 잘못된 방향으로 진행된 훈련의 결과이며,
삶의 다른 장면에서도 분명하게 드러나는
공동체 감정의 결여를 뚜렷이 보여주는 징후이기도 하다.
일자리를 잃었을 때도
사람들은 공동으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공동체와 연대하기보다,
방황하면서 공동체에 반하는 행동을 할 때가 많다.
공동체 감정의 마지막 시험대는, 노화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다.
자식이 있거나, 문화 발전에 기여함을 통해 자신을 기억해줄 사람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런 어려움이 크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빠르게 늙는 신체와 정신적 쇠약에 직면해
자신의 완전한 소멸에 대한 두려움에 시달리는 사람들은 실제로 매우 많다.
특히 갱년기의 위험에 대한 미신에 현혹되어 어쩔 줄 몰라 하는 여성들을 자주 본다.
협력이 아니라 청춘과 아름다움에서 여성의 가치를 찾던 사람들은 이 시기에 큰 고통을 겪으며,
마치 부당한 공격이라도 받은 것처럼 적대적인 방어 태세를 보이기도 하고,
불편한 심기가 우울증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우리는 적어도 노년층 스스로 협력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기회를 얻게 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이 연령대에서는 많은 경우 협력하려는 의지의 한계가 뚜렷하다.
이들은 자신의 중요성을 과장하고, 매사에 더 잘 아는 듯한 태도를 취하며, 늘 박탈감에 빠져있다.
그래서 협력하고자 하는 다른 사람들에게 오히려 방해가 되고
자신이 무서워하고 걱정했던 결과를 스스로 조성하게 된다.
우리의 공동체 감정은
삶의 과제를 통해 끊임없이 시험대에 오르며
이를 통해 인정받거나 거부되는 과정을 거친다.